기타/심수상응 2

주니어 분석가가 바라보는 모델링(modeling)이란?

회사에서 모델링 관련 업무를 하다 보면 방향을 잃을 때가 있다. 결과를 내는데 급급하기보다는 모델링의 목적과 달성하고자 하는 요구사항이 뭔지? 그리고 어떻게 모델링 방향을 설정할지? 에 대한 고민이 선행돼야 한다. 학교에서 단순히 논문을 쓰고, 공부를 할 때와는 많이 달라 이 부분을 인지하는데까지 꽤 시간이 걸렸다. 여전히 훈련이 덜 된 상태라 잊지 않기 위해 해당 부분을 정리한다. 1. 연구용 모델링? 대학원에서 논문을 썼을 때 이야기다. 논문을 쓰고 졸업하려면 '모델을 구현하고 성능을 개선시킴'을 보여줘야지 라는 포인트에 맞춰 왜 모델링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찰 없이 결과 내는데 집중을 했다. 변명하자면 잘 모르기도 했고, 산업에서 모델을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한 경험부족?이라고 생각한다. 학교에서..

기타/심수상응 2023.12.26

성인이 되는 것은.

내가 어른인가? 머리만 크다고 어른이 된게 아닌거 같은데 언제 어엿한 어른으로의 역할을 다할까?라는 스스로에 대한 의구심이 들어 국어사전에 찾아봤다. 성인은 민법상 만 19세 이상의 모든 사람들을 성인으로 일컫는다. 다 자라서 어른이 된사람을 성인이라 부르는데. 어른은 1.자기일에 책임을 질 수 있는 사람, 2.나이나 지위가 높은 윗사람, 3.결혼을 한 사람.으로 나뉜다. 나는 앞으로 어떤 어른이 되고싶은지에 대해 생각을 해본적이 없던거 같다. 살아가는데 책임을 가볍게 여기고 아무 생각없이 물흐르듯이 시간을 보내왔다. 될대로 되란 식으로. 물론, 그 과정에서 운좋게 잘 풀려 잘 책임지고 있는 일들도 있는 반면에 굉장히 미성숙한 부분도 공존하고 있음을 지금에서야 깨닫는다. 책임 지는데 어려움을 느끼는 미성..

기타/심수상응 2023.12.11